일상/사는 이야기 노지 2019. 2. 23. 09:33
어제 2월 22일, 금요일은 내가 다녔던 부산 외국어대학교의 학위수여식이 있는 날이었다. 조금 길게 말하면 ‘학위수여식’이지만, 그냥 단순하게 말하면 ‘졸업식’이다. 솔직히 말해서 나는 대학의 졸업식이 ‘학위수여식’이라는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이번에 안내 메시지를 받으며 처음 알았다. 졸업식이라고 해서 떠들썩한 분위기로 하루를 특별하게 보내는 건 나와 인연이 없는 일이라, 나는 처음에는 그냥 졸업증만 받고 집으로 돌아오려고 했었다. 하지만 어머니께서 “그래도 사진은 찍어야지! “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에, 당일에 일부러 출석해서 학사복을 대여받아 사진을 찍기도 했다. 졸업식이라고 해도 영화에서 보는 것처럼 특별한 에피소드는 없었다. 그래도 괜스레 졸업장을 보면서 ‘하, 정말 이 졸업장을 받는 데에 오래..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8. 3. 20. 07:30
대학에 다니면서 공부는 필요하다, 하지만 꼭 강제해야 하는 걸까 한국의 모든 수험생이 치열한 경쟁을 통해서 선택받은 사람이 좋은 대학에 들어간다. 서울에서 누구나 알아주는 명문대는 등록금이 천정부지로 오르더라도 거절하지 않는다. 때때로 정말 집이 가난해서 목표를 낮추는 사람도 있지만, 명문대에 갈 의지가 강한 사람들은 아르바이트를 해서라도 입학을 한다. 공부를 하는 일도 어려운데, 매일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공부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면 앞이 깜깜하다. 한국에서는 반값등록금 실천을 위해서 많은 움직임을 한다고 했지만, 사실 반값등록금은커녕 등록금 할인을 받기도 쉽지 않다. 지금 진행하는 국가 장학금도 군데군데서 불만의 목소리가 나온다. ‘우리 집은 이렇게 가난한데, 내가 왜 소득분위에서 5분위인가요?’ 한국..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5. 7. 21. 07:30
실패하더라도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사람은 누구나 살면서 크고 작은 실수를 하기 마련이다. 실수를 통해서 '다음에는 절대 실수하지 말아야지!' 하고 다짐할 수 있는 성장의 계기를 마련하기도 하고, 실수를 통해 그동안 보여주지 못했던 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주면서 공감을 얻기도 한다. 사람은 그렇게 살아가는 생물이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다.'이라는 말이 괜히 명언으로 남지 않았다. 그런데 '실패'와 '실수'의 차이는 무엇일까? 우리는 때때로 '실수했다.'고 말하기도 하고, '실패했다.'고 말하기도 한다. 실수와 실패의 차이는 과정과 결과 둘 중에서 어느 곳에 문제가 있는지에 따라 나누어진다. 상황 판단을 잘못하거나 경험 부족으로 발생한 과정의 문제를 우리는 '실수'라고 말하고, 어떤 행..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2. 7. 17. 07:30
강연100℃ 박효성, "젊음, 자신만의 브랜드를 만들어라!" 아마 많은 대학생이나 청춘은 지금 이 순간에도 자신을 위해 투자하는 일보다는 단순히 남에게 보여주기 위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어릴 때부터 부모님과 선생님께 그렇게 배워왔고, 자신의 주변에도 대부분 자신과 똑같이 인생을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은 그 행동이 '틀렸다'라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옳다'라고 착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그런 사람들을 빗대어 '꿈이 없는 청춘들'이라고 말한다. 물론, 일부는 "나는 꿈이 있다."라고 말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 꿈은 대부분 자신이 정한 꿈이 아닌, 부모님이 혹은 남이 그 꿈을 가져서 자신도 가진 '가짜꿈'일지도 모른다...
시사/학교와 교육 노지 2012. 1. 6. 07:07
돈 내고 대학 졸업장을 따기 위해서 대학을 다니는 사람들… 1월은 많은 사람들이 새해 한 해의 계획을 세우거나 한 해를 어떻게 보내면 좋을지 이런저런 생각을 하면서 보내는 달이다. 작년에 수능시험을 치고 올해에 대학생이 될 많은 학생들은 '어떤 대학을 가야 하나?'라고 많은 고민을 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나는 그 학생들에게 대학을 선택함에서 조금 더 깊게 생각을 해줬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 글을 적었다. 많은 학생들이나 부모님들이 자신이 무엇을 하고 싶어하는지는 생각해보지도 않고, 일단 높은 대학을 가려고 하거나 '성적에 맞춰서' 대학을 가려고 한다. 하지만, 그렇게 대학을 가게 된다면, 정말 뼈저리게 후회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대학을 단순히 '졸업장'을 획득하기 위한 장소로 가려고 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