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1. 12. 20. 07:34
김정일 사망, 만약 북한에서 민주화 운동이 일어난다면? 아마 올해의 최고의 화제가 되는 뉴스 중 톱 부분에 차지할 이슈는 바로 어제 발생하지 않았나 싶다. 바로 북한의 '김정일 사망' 사건. 북한은 현 21세기에서 유일무이하게 계속해서 지난 구체제를 계속해서 유지하고 있는 나라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이 일에 쏠리고 있다. 특히, 북한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한국, 중국은 물론이고 가까이에 있는 일본이나 우리나라의 배후세력(?)에 속하는 미국도 북한의 향후 움직임에 대해서 예의 주시를 하고 있다. 북한에서의 김정일 사망으로 인하여 가장 최악의 경우에는 바로 남북전쟁이 발발하는 것이다. 북한의 공식 후계자가 된 김정은은 김정일처럼 군을 중요시 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도가 되고 있으며, ..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0. 8. 12. 16:56
지금 현 상황에서 남북간의 관계가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이는 외교정책이 함께 중요시 되는 문제인데 딱히 명확한 해결방안이 없어 전전긍긍하고 있다. 게다가, 북한의 예측불가능한 도발적인 행동이 터지면서 그 문제는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그 문제 때문에, 여야당간에는 북한외교정책의 잘잘못을 따지며 논란이 빚고 있기도 하다. 왜 이렇게 우리가 북한에 끌려다니게 된 것일까? 그것에 대한 이야기를 하자면 조금 옛날로 거슬러 올라간다. 우리는 상당한 기간동안 북한에 원조를 해주면서, 협력을 이끌어 왔고 거의 해줄 수 있는 것은 다해왔다. 하지만, 그것때문에 지금 북한이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 우리는 북한과의 관계악화가 이명박정부가 너무나 북한을 몰아세워서 그렇다고 하지만, 그것 때문이 아니다. 지금..
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10. 2. 10. 15:52
남북관계 어떻게 이끌어 가야 할까? 지금 현 상황에서 남북간의 관계가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이는 외교정책이 함께 중요시 되는 문제인데 딱히 명확한 해결방안이 없어 전전긍긍하고 있다. 게다가, 북한의 예측불가능한 도발적인 행동이 터지면서 그 문제는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그 문제 때문에, 여야당간에는 북한외교정책의 잘잘못을 따지며 논란이 빚고 있기도 하다. 왜 이렇게 우리가 북한에 끌려다니게 된 것일까? 그것에 대한 이야기를 하자면 조금 옛날로 거슬러 올라간다. 우리는 상당한 기간동안 북한에 원조를 해주면서, 협력을 이끌어 왔고 거의 해줄 수 있는 것은 다해왔다. 하지만, 그것때문에 지금 북한이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 우리는 북한과의 관계악화가 이명박정부가 너무나 북한을 몰아세워서 그렇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