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사회와 정치 노지 2025. 2. 20. 08:14
요즘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는 먹고살기 일을 하더라도 좀처럼 여력이 남지 않는 시대다. 매달 벌어서 대출을 갚고, 생활비로 쓴 카드값을 갚고, 보험을 내고, 취미 생활에 투자할 수 있는 돈이 10~30만 원 정도 남으면 나름 성공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임금이 줄어들거나 추가로 빚이 생기면 이것조차 힘든 경우가 많다. 오늘날 젊은 세대가 결혼을 기피하는 이유 중 하나는 결혼을 하면서 생기는 비용 때문이다. 경제적 여력이 있어 결혼을 해서 전세라고 해도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요즘은 깡통 전세가 많다 보니 전세로 신혼집을 구하는 것도 쉽지 않다. 특히, 스몰 웨딩을 하더라도 결국 결혼에는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게 된다. 이런 근로자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근로복지공단에서는 근로복지넷을 통..
정보/이벤트 정보 노지 2024. 7. 8. 08:40
요즘 사람들은 은행의 이자가 낮다 보니 은행에서 적금 통장을 만들어서 돈을 모으기보다 해외 주식 모으기, 코인 투자 등을 통해 적은 돈이라도 조금씩 불리기 위한 투자를 하는 경향이 짙다. 하지만 비록 그렇게 돈을 모을 수 있다고 해도 안정적으로 내가 소비를 줄이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적금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해외 주식 모으기와 코인 투자를 통해 돈을 불리는 돈과 내가 쓰지 않고 모을 돈을 따로 분류해서 분산 투자를 하는 형태로 돈을 관리하는 것이 고수들의 선택이라고 말한다. 과거 재테크 열풍이 불 때는 최대한 쓰는 돈을 줄이고, 적금으로 내가 낭비할 것 같은 돈을 미리 빠지게 하는 전략이 다른 어떤 전략보다 우선시되었다. 알뜰하게 돈을 모으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그 전략은 유효하다. 그..
일상/일상 다반사 노지 2022. 2. 28. 09:47
지난 22년 2월 21일(월)부터 2월 25일(금)까지 1987년 2월 23일 이후 출생자를 대상으로 한 청년희망적금 가입이 이루어졌다. 다소 금융에 대해 개념이 없는 사람들도 사람들이 들썩들썩하는 모습에 '어? 뭐지? 해야 하는 건가?' 싶어서 가입 절차를 알아보거나 이번에 처음으로 청년희망적금이라는 것에 대해 알게 되지 않았을까 싶다. 나도 처음에는 딱히 가입할 여력이 마땅치 않아 가입을 하지 않으려고 했는데, 트위터를 통해 알게 된 트친 분들이나 주변 친구들도 '이자가 거의 6%이기 때문에 가입하는 게 좋다'라고 말했기 때문에 이왕지사 이렇게 된 거 한번 가입을 해보기로 했다. 또 언제 있을지 모를 기회라고 하니 지금 하지 않으면 손해라는 생각이 들었다. 청년희망적금은 다양한 은행에서 공통적으로 정..